[ MAC ]
> 구조 : OUI + Serial(일련번호). NIC(Network Interface Card) 안에 들어있음.
> 크기 : 48
> 필드 수 : 6
> 필드 당 비트 : 8
> 표기 : 16
> 구분자 : : - .
> 총 개수 : 무제한
[ IPv4 ]
> 구조 : 호스트 주소 + 네트워크
> 크기 : 32
> 필드 수 : 4
> 필드 당 비트 : 8
> 표기 : 10
> 구분자 : ,
> 총 개수 : 약 43억 개
[ IPv6 ]
> 구조 : 네트워크ID + 인터페이스ID
> 크기 : 128
> 필드 수 : 8
> 필드 당 비트 : 16
> 표기 : 16
> 구분자 : :
> 총 개수 : (약) 43억 * 43억 * 43억 * 43억 개
CMD에서 ipconfig 명령어(또는 ipconfig/all)를 통해 주소(Address) 확인이 가능합니다.
네트워킹을 하기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주소입니다.
> IP 주소는 Host 그대로 자기 자신을 뜻하는 주소입니다.
>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 주소를 어디까지 사용할 것인가를 지정해주는 영역으로,
Sub(하위) + Net(네트워크) + Mask(차단 및 제한 등의 의미를 내포)
즉 하위 네트워크를 제한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위 네트워크를 제한함으로써 영역(바운더리)을 생성하고, 그것이 네트워크가 됩니다.
> 게이트웨이는 내부에서 외부로 나갈 때,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올 때 거쳐가는 관문(대문)입니다.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지 않는다면 게이트웨이를 거쳐갈 일이 없습니다. 이를 서브넷(Subnet)이라고 합니다.
내부의 네트워크와 외부의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개념으로 라우터와 게이트웨이의 차이로는
라우터는 장비, 게이트웨이는 개념적인 용어입니다.
여기서 "어댑터"라는 용어는 하나의 접근 지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NIC (Network Interface Card)를 다른 말로 LAN 어댑터라고 부르는 것 처럼
인터페이스, 어댑터와 같은 용어들은 하나의 접근 지점을 뜻합니다.
다만 인터페이스는 논리적인 개념이 강하고, 포트 등은 물리적인 개념이 강합니다.
윈도우 10에서는 좌측 하단 검색창에서 "네트워크 연결 보기" 또는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연결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더넷 또는 Ethernet0 등에 해당하는 네트워크를 더블클릭 후 속성을 클릭하여 이더넷 속성창을 열면 IPv4 항목이 있습니다. 더블클릭하여 자세히 보면 "자동으로 IP 주소 받기" 항목이 체크되어 있습니다.
이는 즉, 윈도우 10을 부팅할 때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Client 즉,
동적 호스트 구성(설정) 프로토콜 클라이언트를 자동으로 실행한다는 의미입니다.
DHCP Server와 윈도우 10 사이에서 68번 포트를 사용하여 4-way Handshake 연결이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연결이 되면 IP주소, Subnetmask, Gateway, DNS 등의 주소를 DHCP서버에서 받아오게 됩니다.
이를 CMD에서 직접 받아오는 명령어가 바로 ipconfig 명령어입니다.
자동으로 IP 주소 받기 항목의 아래에 있는 "다음 IP 주소 사용" 항목은 Static입니다.
말 그대로 정적이기 때문에 DHCP 클라이언트를 실행하지 않습니다.
DHCP 서버에 있는 주소를 가져오지 않기 때문에, 필요한 주소들을 직접 입력하는 것입니다.
다시 돌아와서 MAC Address를 다시 살펴보자면 6개의 필드로 이루어진 16진수의 나열입니다.
Ex) 6C-62-6D-01-4B-B7
이 16진수를 2진수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0110 1100 / 0110 0010 / 0110 1101 / 0000 0001 / 0100 1011 / 1011 0111
단계적으로 간단하게 본다면 www.google.com이라는 도메인 주소를 주소창에 입력했을 때
컴퓨터가 알지 못하기 때문에 중간에서 DNS서버가 해석하여 컴퓨터에 IP주소를 알려주고,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를 사용하여 이 IP 주소를 가지고 MAC Address를 찾아냅니다.
'[정보 보안] 네트워크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 보안] 이더넷(Ethernet)과 ARP Header (0) | 2022.07.05 |
---|---|
[정보 보안] 식별자(Identifier)_2 (0) | 2022.07.04 |
[정보 보안] 세션 하이재킹(Session Hijacking) (0) | 2022.07.02 |
[정보 보안] 스푸핑(Spoofing) 공격 (0) | 2022.07.01 |
[정보 보안] 스니핑(Sniffing) 공격 (0) | 2022.05.31 |